유튜브(7)
-
대 유튜브 시대
바야흐로 1인 미디어 전성시대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두가 크리에이터를 꿈꾼다. 심지어 초등학생 장래희망 순위 상위권에 오를 정도니 가히 폭발적인 인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예전에도 개인 방송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지만 지금과는 차원이 다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접근성이 좋아졌고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진입 장벽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덕분에 이제는 누구나 쉽게 영상을 찍고 편집하여 업로드할 수 있게 되었다. 시청자들 반응 보는 것도 즐겁고 댓글 읽는 것도 흥미롭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광고 수입 외에도 협찬 및 후원금 그리고 강연료 등 부수입을 올릴 수 있어 경제적 자립 면에서도 유리하다. 다만 단점도 존재한다. 우선 시간 관리가 어렵다. 생방송 특성상 정해..
2023.01.04 -
디지털 노마드가 되고싶다.
퇴사 후 1년이 다되가는 지금 슬슬 모아둔 돈도 고갈 되고 있기때문에, 조금이라도 생산적인 일을 해보고자 한다. 유튜브 쇼츠, 서베이링크, 앱테크, 블로그와 얼룩소도 물론 다들 시간을 들이거나 정성을 다해야 하는 일이지만 이놈의 근성은 그게 쉽지않다. 물론 재취업을 바라고 있지만 정말로 정말로 디지털 노마드가 되면 얼마나 좋을까?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으면 좋겠다.
2022.12.30 -
슈퍼초보 인터넷방송 하기 3편 (트윕, 투네이션후원기능 넣기)_프리즘 스튜디오
자 3편이자 마지막 후원기능 넣기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을 하면서 수익을 얻는 방법은(유튜브 제외) 자기자신의 계좌를 써 놓는다던가, 아프리카TV는 별풍선을 받는다던가, 별도 광고를 받을때지만 해당 방법은 트위치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편에 설명한 트윕과, 투네이션 같은 써드파티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해당방법의 장점은 수수료가 아프리카 TV에 비해서 조금 저렴하고 다양한기능, 영상, 음성도네이션 및 기타 위젯등과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럼 본격적으로 방법을 알아보자 해당 방법은 주 사용층인 트위치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1. 후원기능 사이트 접속 트윕, 투네이션이다. www.twip.co.kr Twip - 트위치 스트리머를 위한 오버레이 도구 시청자와 소통하는 방송 화면 인터넷 방송을 하면서 시청..
2022.10.14 -
슈퍼초보 인터넷방송 하기 2편 (채팅창 띄우기, 오버레이)_프리즘 스튜디오
인터넷 방송하기 2편 이번시간에는 화면에 채팅창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그전에 전편을 한번 보고오는 것을 추천 https://231000.tistory.com/entry/%EC%9D%B8%ED%84%B0%EB%84%B7-%EB%B0%A9%EC%86%A1%EC%9D%84-%ED%95%B4%EB%B3%B4%EC%9E%90%ED%94%84%EB%A6%AC%EC%A6%98-%EC%8A%A4%ED%8A%9C%EB%94%94%EC%98%A4 인터넷 방송을 해보자(프리즘 스튜디오) 간간히 취미방송에 도전했지만 흥미가 급떨어져 멀리했던 인터넷 방송 그때 기억을 살려, 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참고로 굉장히 라이트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인터넷 방송 해보기! 방송 231000.tistory.com 자 그럼 첫번..
2022.10.13 -
슈퍼초보 인터넷 방송을 해보자(프리즘 스튜디오)
간간히 취미방송에 도전했지만 흥미가 급떨어져 멀리했던 인터넷 방송 그때 기억을 살려, 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참고로 굉장히 라이트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인터넷 방송 해보기! 방송용 프로그램 깔기 방송플랫폼 정하기 출력할 화면 캡쳐하기 음성출력 설정하기 방송시작과 채팅 1. 방송용프로그램 설치하기 Xsplit, OBS 등 유명하고 많이 쓰는 프로그램들이 있지만 오늘 소개할 프로그램은 Prism studio이다. 설치방법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만큼 검색포탈에 프리즘스튜디오를 검색해서 들어가면 친절하게 되어있다. 일단 이 프로그램을 깔도록 하자. 2. 방송용플랫폼 정하기 위 캡쳐화면에 보듯이 상단에 보면 여러 인터넷 방송 플랫폼이 나와있는것을 알 수 있다. 오늘 내가 테스트 해 볼 것은 '트위치'..
2022.10.12 -
망사용료. 누구를 위한 법인가?
최근 망사용료 관련 이슈들이 핫하다. 몇달전의 넷플릭스를 시작해서 트위치에서 화질을 제한하겠다고 공표했다. 사실 넷플릭스가 화두에 올랐을때는 다들 관심이 없는 듯했다. 왜? 내가 내는게 아니니까. 내가 손해보는건 없으니까. 그리고 외국기업인데 우리나라에서 사용료를 안내? 라고 생각들을 했던 것 같다. 하지만 트위치, 유튜브에 적용되고 이용자의 혜택에 문제가 생긴다고 하니 이제서야 다들 관심을 갖는 분위기다. 망 사용료? 말 그대로 인터넷 망을 사용하는데에 돈을 걷겠다는 것이다.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컨텐츠 소비자들이 아닌 CP(컨텐츠 제공업자)들에게 트래픽에 비례한 요금을 부과하겠다는 것. 국수주의를 이용한 민심 잡기 통신 3사는 한국 기업. 문제가 되는 대형 콘텐츠 제공업자들은 대부분 외국기업이다...
2022.09.30